본문 바로가기
  • Make each day count!

분류 전체보기14

IFRS 9 기준에 따른 손상 대손충당금 산정 1. IFRS 9의 도입 배경과 기본 구조IFRS 9은 과거 IAS 39에서 발생손실모형(incurred loss model)을 사용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기대신용손실모형(expected credit loss model, ECL)으로 전환한 회계기준입니다. 즉, 손상이 ‘실제로 발생한 후’가 아니라,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시점’부터 손실을 인식하게 됩니다. 대출채권 등 금융자산을 세 가지 단계(Stage 1, 2, 3)로 나누며, 신용위험이 증가할수록 더 긴 기간 동안의 손실을 반영하게 됩니다. Stage 1은 12개월 ECL을, Stage 2와 Stage 3는 전체기간의 ECL을 반영합니다. 특히 Stage 2는 신용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한 경우, Stage 3는 실제 부도가 발생한 경우로 구분됩니다.. 2025. 5. 9.
주요 대출 확약 약정사항 공시 정리 1. 원화대출약정금융기관과 원화 기준으로 일정 금액 한도의 대출 약정을 체결하고 있는 경우. 이는 실제 대출 실행 여부와 무관하게, 필요 시 자금을 빌릴 수 있도록 설정된 약정입니다. 일반적으로 운전자금 확보나 단기 자금 수요 대응을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자금 유동성 확보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Capital call 방식 출자약정이는 사모펀드(PEF)나 공동 투자 구조 등에서 자주 사용하는 출자 방식으로, 펀드 운용사 또는 투자 대상 법인으로부터 출자 요청(capital call)이 있을 때, 사전에 약정된 금액만큼 자금을 납입해야 하는 계약입니다. 최초에 전액을 납입하지 않고 필요 시 납입하므로 자금 운용 효율성은 높지만, 요청 시 자금 유출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기업의 미래 현금흐름.. 2025. 5. 8.
#1 K-ICS와 IFRS17의 개요 1. K-ICS의 기본 구조K-ICS는 보험회사의 재무 건전성을 평가하는 기준이에요. 보험사가 앞으로 보험금을 제대로 지급할 수 있을 만큼 자본이 충분한지 보는 거죠.여기엔 두 가지 핵심 개념이 있어요. 바로 ‘가용자본’과 ‘요구자본’이에요.가용자본은 보험사가 가지고 있는 자본 중에서 손실을 흡수할 수 있는 자본을 말해요. 이건 우리가 흔히 아는 납입자본금, 이익잉여금 같은 기초자본에다가 후순위채나 특별적립금 같은 보완자본까지 포함돼요.요구자본은 보험사가 감수하고 있는 다양한 위험—예를 들어 사망이나 질병 같은 보험위험, 금리나 주가 같은 시장위험, 대출채권이 부도날 가능성인 신용위험, 내부통제 실패에서 오는 운영위험 등—을 감당하기 위해 필요한 자본이에요.이 둘의 비율, 즉 가용자본을 요구자본으로 나눈.. 2025. 5. 7.
법인세개론 - 각 사업연도 소득에 대한 법인세의 계산구조 및 과세소득의 범위 및 세무조정과 소득처분 🧾 1. 각 사업연도 소득에 대한 법인세의 계산 구조📌 개요법인은 각 사업연도 동안 발생한 소득에 대해 법인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하지만, 재무회계상의 순이익(당기순이익)과 세법상 과세소득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조정하는 과정을 거쳐야 해요.📊 법인세 계산 흐름단계설명① 당기순이익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된 손익계산서상의 순이익입니다. 출발점이죠.② + 익금산입회계상 수익으로 보지 않지만 세법상 과세대상인 금액을 더합니다.③ – 익금불산입회계상 수익이지만 세법상 과세하지 않는 항목은 빼줍니다.④ + 손금불산입회계상 비용이지만 세법상 비용으로 인정하지 않는 항목을 더합니다.⑤ – 손금산입회계상 비용은 아니지만 세법상 비용으로 인정되는 항목은 빼줍니다.⑥ = 각 사업연도 소득위의 조정을 마친 뒤 세법.. 2025. 4. 17.